틸팅열차 이야기가 나온 김에 일본의 틸팅열차 개발 역사에 대해서도 한번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일본의 틸팅열차 개발의 시초는 1961년 오다큐전철과 스미토모 금속공업과의 공동연구에 의해 공기 스프링식 자연틸팅 시스템의 FS30X형 시험용 연접대차 개발이 시초입니다. 그 후 오다큐전철과 미츠비시전기가 공동으로 대차 좌우의 공기스프링 압력차를 이용한 공기스프링 스트로크식으로 틸팅장치의 실용화 시험을 실시했으나 당시는 제어 기술이 미숙했던 관계로 기대한 성능을 얻을 수 없었고 실용화는 당분간 보류됩니다. 이후 국철에서도 1968년에 T링크식 자연틸팅시스템의 TR96형 대차를 장착한 토키 15000형 화차에 의해 시험을 실시했으나 링크부의 마찰저항에 의한 동작지연과 동작불량이 확인됩니다. 그 후 링크식에서 선회하..
업데이트한지 얼마 되지 않았으나 약간 중요하게 다룰 이야기가 있어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모 과학잡지에서 2001년부터 시작된 한빛 200이라는 틸팅열차 프로젝트가 상용화 기한인 2012년을 넘긴채 감감 무소식이라는 기사가 떳는데 일각에서는 국가예산을 들여 시작한 철도 고속화 프로젝트중 하나가 사장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도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서는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을 생각해야 할것인가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실제로 코레일에서는 2010년 경 개량후의 중앙선 투입을 목적으로 틸팅열차 양산을 위한 보조금을 신청했다가 기획재정부가 거부한 바 있습니다. 여기서 왜 보조금인가 하면 틸팅 장치 등 기존 특급형 차량보다도 많은 전장품이 들어가 있기에 상당히 고가라 보조금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일각에..
- Total
- Today
- Yesterday
- 영업손실
- 기존선
- 간선여객
- HEMU-430X
- 철도화물
- 공항철도
- 민영화
- 연약지반
- 경부선
- KTX
- 고속철
- 운임
- 침대특급
- 틸팅열차
- 급행
- 무궁화호
- 철도차량
- 지반 침하
- 태백선
- 새마을호
- 소녀시대
- 무임수송
- 전동차
- 동력분산식
- 고속화
- 견인기
- 철도
- 수입구조
- 일반철도
- 제3섹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