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부터 경의선이 자꾸 화제에 오르고 27일 개업 이후에도 자꾸 오르내리고 있는데 이번편은 지난번에도 언급했다시피 다소 우려되었던 부분....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문제의 핵심을 벗어나다 못해 쓸데없는?? 어느 보도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3&aid=0000019817 모 블로그에서도 언급했다시피 다음과 같은 스폰서들의 협력으로 작성된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드는데 1. 구토고통X 2. XX절도X설X단 3. 구 용산선 연선 핌피충 4. 서소문건널목 때문에 지각해서 편집장에게 깨져 빡친 어느 기레기 적어도 4가지 가운데 하나는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무슨 말도 안되는 ..
얼마전 서울메트로의 노후 차량 교체 물량 가운데 200량에 대한 국제입찰 계획이 나온데 이어 그것도 중국의 대표 철도차량 제작소인 CNR, CSR에 대한 시찰소식까지 전해지면서 철도차량 기술의 중국유출 가능성과 저질 전동차의 등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등 현재까지도 이 문제에 대한 여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번 세월호 참사 여파로 인한 철도차량 내구연한 재지정 논란, 거기에 수반된 서울메트로와 코레일의 노후차량 문제와 KTX-1의 급속한 노후화 문제 등 철도차량 산업과 관련하여 철도안전에 수반된 여러가지 이슈가 있었던 만큼 무엇이 문제인지 지난번 철도차량 산업과 관련된 이슈와 연계하여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사실 서울메트로의 이러한 방침 배경에는 코레일의 누리로 전동차 히타치 낙찰, 도시철도공사..
현 시점에서는 11월 중순으로 접어드는 시기이니 이제는 쉰 떡밥??이 되어버렸지만 국가적 프로젝트이니 만큼 상당한 논란이 될 내용이고 무엇을 생각해야 할지 한번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10월 28일자 KBS디스패치와 스포츠서울 보도에서 동력분산식 고속철 차량 HEMU-430X 개발 프로젝트와 관련하여표정속도 219km/h에 불과하다는 뉘앙스의 보도가 나오면서 프로젝트 주체뿐만 아니라 동호인 채널에서도 '역시 기레기 클라스는 명불허전이네'가 최고의 키워드베플가 되는 등 철도 관련한 많은 분들이 발끈했을 정도로 한동안 시끄러웠던 일이 있었습니다. 사실 최고속도 430km/h는 어디까지나 성능상의 설계속도 개념에 실제 영업운행에서는 380km/h 남짓, 경부고속철 1단계 구간의 설계속도까지 감안한다면 사실상 ..
- Total
- Today
- Yesterday
- 태백선
- 소녀시대
- 영업손실
- 일반철도
- 공항철도
- 견인기
- 경부선
- 연약지반
- 전동차
- 새마을호
- 지반 침하
- HEMU-430X
- 무임수송
- 민영화
- 수입구조
- 제3섹터
- 고속화
- 침대특급
- 간선여객
- 철도
- 철도차량
- 무궁화호
- 철도화물
- KTX
- 급행
- 기존선
- 틸팅열차
- 고속철
- 운임
- 동력분산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